코테 공부/Python 문법 13

Python List 내장 함수

리스트에 요소 추가(append) append를 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덧붙이다, 첨부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 뜻을 안다면 다음 예가 바로 이해될 것이다. append(x)는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x를 추가하는 함수이다. >>> a = [1, 2, 3] >>> a.append(4) >>> a [1, 2, 3, 4] 리스트 안에는 어떤 자료형도 추가할 수 있다. 다음 예는 리스트에 다시 리스트를 추가한 결과이다. >>> a.append([5,6]) >>> a [1, 2, 3, 4, [5, 6]] 리스트 정렬(sort) sort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해 준다. >>> a = [1, 4, 3, 2] >>> a.sort() >>> a [1, 2, 3, 4] 문자 역시 알파벳 순서로 정렬할 수 있..

Python 문자열 내장 함수

>>> title = "TEAMLAB X Upstage" >>> title.title() Teamlab X Upstage >>> title = "TEAMLAB upstage" >>> title.title() Teamlab X Upstage 문자 개수 세기(count) >>> a = "hobby" >>> a.count('b') 2 문자열 중 문자 b의 개수를 돌려준다. 위치 알려주기1(find) >>> a = "Python is the best choice" >>> a.find('b') 14 >>> a.find('k') -1 문자열 중 문자 b가 처음으로 나온 위치를 반환한다. 만약 찾는 문자나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한다. ※ 파이썬은 숫자를 0부터 세기 때문에 b의 위치는 15가 아닌 1..

Python 자료형: 숫자형, 문자열

1. 숫자형 2. 문자열 Immutable Indexing Slicing Formatting Format 함수를 활용한 Formatting 1. 숫자형 x ** y처럼 사용했을 때 x의 y제곱(xy) 값을 돌려준다.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 연산자 나눗셈 후 몫을 반환하는 // 연산자 2. 문자열(string) - sequence 자료형(리스트, 튜플, range, 문자열처럼 값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으로 문자형 data를 메모리에 저장 - 영문자 한 글자는 1 byte의 메모리 공간을 사용 요소값을 바꿀 수 없는 immutable한 자료형 >>> a = "Pithon" >>> a[1] 'i' >>> a[1] = 'y' ## 불가능 >>> a = "Pithon" >>> a[:1]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