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수는 얼마만큼 수가 증가되어야 자릿수가 바뀌는지 그 단위를 의미함
n진수는 0~(n-1)까지 즉 n개의 수를 넘어가면 자릿수가 바뀌는 방식임
예를 들어 10진수는 0~9까지 즉 10개의 수를 넘어가면 자릿수가 바뀌고 그래서 9에서 +1을 하게 되면 자릿수가 바뀌어 10이 됨. 또한 2진수는 0부터 1씩 더하면서 보자면 0 -> 1 -> 10 -> 11 -> 100 이런식으로 1을 더할 때 오른쪽 자릿수가 1이면 자릿수가 바뀜.
진수 | 나올 수 있는 값 |
2진수 | 0~1 |
8진수 | 0~7 |
10진수 | 0~9 |
16진수 | 0~15(F) |
10진수 | 16진수 |
10 | A |
11 | B |
12 | C |
13 | D |
14 | E |
15 | F |
16 | 10 |
17 | 11 |
1. N진수와 10진수 사이의 변환
2, 2진수, 8진수, 16진수 사이의 변환
1. (1) N진수를 10진수로 변환
(2) 10진수를 N진수로 변환
2. (1) 2진수를 8진수, 16진수로 변환
(2) 8진수, 16진수를 2진수로 변환
(3) 8진수를 16진수로 변환 / 16진수를 8진수로 변환
- 8진수를 2진수로 바꾼 뒤 4개씩 묶어서 16진수로 변환
- 16진수를 2진수로 바꾼 뒤 3개씩 묶어서 8진수로 변환
'전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기본 명령어 (0) | 2022.10.11 |
---|